•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이슈 9월 출생아 전년 동월 대비 20명 감소… “90년대생 부모 증가, 반등 기회로”

이에 대해 1990년대 초중반 출생아 수가 늘어난 점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1987년부터 1990년까지 출생아 수는 연평균 63만6523명이었지만 1991년부터 1995년까지는 연평균 71만8396명으로 늘었다. 또 여아 100명당 남아 수를 의미하는 총출생성비도 1990년 116.5명에서 1995년 113.2명을 기록하는 등 개선됐다.

 

전영수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90년대생은 실질적인 베이비부머 자녀 세대이고 인구정책 2기에 해당돼 산아제한 정책이 풀리는 등 볼륨 자체가 늘어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성비불균형이 완화된 90년대생이 출산연령대로 진입한 점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아직도 월별로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저출산 현상이 완화되고 있는지는 앞으로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90년대생 이후 세대가 경제적 문제로 출산을 기피하지 않도록 대대적인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전영수 교수는 “조금 반등의 기미가 있는 지금이 굉장히 중요한 타이밍이기 때문에 90년대생의 결혼, 출산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확실한 신호를 줘야 한다”면서 “고용과 주거의 안정성을 높여주고, 양육환경과 관련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 돌봄의 사회화 등 전폭적이고 장기적인 방안을 세트로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최영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부모 입장에서 노동시간이 너무 길고, 충분한 임금이 확보되지 않으면 출산을 꺼릴 수밖에 없다”면서 “비정규직 증가에 따라 노동시간 및 임금 측면에서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는데, 네덜란드처럼 비정규직의 적정임금을 보장해주는 방향으로 구조개혁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나경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날 “복지 차원에서 추진되어 온 기존 대책과 달리 주택·일자리 등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종합적 차원에서 제대로 된 저출산 대책을 마련하겠다면서 “그간 소홀했던 고령사회 적응 정책을 강화함과 동시에, 이민이나 고령자 고용연장 같은 예민한 이슈까지 면밀히 검토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인구 미래전략을 기획하겠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757290?sid=101


댓글은 회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게시판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