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이슈 "서울 쓰레기는 서울에 버려라"..인천 이어 고양시도 '반발'

https://v.kakao.com/v/20210212100202515?from=tgt

12일 서울시와 서대문구에 따르면 경기 고양시 덕양구 난지물재생센터 내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이 올해 재가동할 예정이었으나,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다.

난지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은 1996년 서울시와 환경부에 의해 설치된 뒤 1998년부터 서대문구가 서울시로부터 관리 위임을 받아 전문업체를 통해 위탁 운영해왔다.

그런데 민간 위탁 업무를 해오다보니 시설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자, 서대문구가 직접 공공 운영하기로 했다.

구는 노후 시설을 교체하고, 설비를 확충하기 위해 2019년 1월부터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주민들의 민원 등을 고려해 하루 처리 용량도 300톤에서 150톤으로 축소했다.

2년여간 시설 개보수를 끝나고 올해부터 다시 재가동을 할 계획이었으나 인근 주민들의 반발에 제대로 진척되지 않고 있다.

특히 내년까지 약 5000세대가 입주 예정인 덕은지구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민원이 폭주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당 시설은 서울 5개 자치구(서대문·마포·은평·종로·영등포구)와 고양시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다. 인근 주민들은 "서울 쓰레기를 왜 고양시에서 처리하냐",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을 가동하면 악취 등으로 주민들의 피해가 크다" 등으로 거세게 항변한다.

서대문구 관계자는 "지난해 주민 21명이 참석한 '협의체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협의를 해나가고 있는 상황인데 덕은지구 입주 예정자들을 중심으로 민원이 폭주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주민들 중 찬성하는 분들도 있지만, 겉으로 나서서 밝히기 어려워 하는 분위기도 있다"고 말했다.

난지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을 둘러싼 서대문구와 고양시 주민들의 갈등은 서울시가 2025년을 목표로 추진 중인 '완전 지하화'가 완성될 때까지 한 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2019년부터 고양시와 협의체를 구성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지하화를 계획했다. 현재 시설의 대각선 반대 방향에 부지를 확보해놓은 상태다. 현재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절차를 진행 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하화 완료 후에는 지상 시설은 가동하지 않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며 "서대문구가 현재 시설을 개보수해 한시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 주민들과 의견 차를 좁혀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의 쓰레기 처리 문제를 놓고 지자체간 갈등이 불거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인천시는 인천 서구에 위치한 수도권 매립지를 2025년 문을 닫고, 자체적으로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지난해 '쓰레기 독립'을 선언했다. 매립지의 악취, 폐기물 처리 차량 소음·매연 등으로 고통받은 주민들을 외면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서울시와 경기도는 오는 4월14일까지 대체 매립지 후보지 공모 절차를 진행 중이다. 단 한 곳도 응모하지 않는 최악의 상황에는 수도권 매립지를 둘러싼 서울시-경기도-인천시의 갈등도 다시 불거질 수 있다.


댓글은 회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게시판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