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정보 한 주의 시작은 일요일일까 월요일일까? 첫째 요일과 첫째 주 구분법

    

일상의 미스테리, 첫째 주(週)/요일 구분법

 

   

 

■ 오늘도 시간은 어김없이 흘러갑니다. 눈이 오건 비가 오건, 우리가 시간의 흐름을 느끼고 있든 없든 말이죠. 그러다 한 시간, 하루, 일주일, 한 달 그러다 어느 순간 훌쩍 지나가버린 세월을 깨닫고 깜짝 놀란 경험, 다들 한 번씩은 있으시죠? 그러면 어느 순간 이렇게 되뇌이게 됩니다. “그래, 다음 주부터 다시 시작하는 거야.” 하고 말이지요.

런데 여기서 “다음 주부터 새로 시작한다”는 건 정확히 언제부터를 의미하는 걸까요?

 

한 주의 시작은 당연히 월요일인데 무슨 말이냐며 의문을 표시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월요일이 한 주의 첫 날이라는 정서가 지배적이니까요.

 

그러나 놀랍게도 한 주의 시작을 월요일로 보느냐 일요일로 보느냐는 나라마다 달라서 계속적으로 논쟁이 되고 있는 사안이랍니다. 다음의 예를 살펴볼까요?

 

〈한·미·영 3국의 ‘월요일’에 대한 사전적 정의〉

 

영국

미국

우리나라

 정의

 Monday:
 The 
first day
 of the week

 MONDAY:
 The 
second day
 of the week

 월요일 [月曜日]:
 한 주(週)가 시작하는
 기준이 되는 날

 월요일:
 한 주의 
첫 번째 날

 월요일:
 한 주의 
두 번째 날

출처

Longman Dictionary

Webster's Dictionary

네이버 국어사전

 

 주의 시작을 일요일로 보는 국가는 종교적인 이유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습니다. 유대교, 기독교에서 토요일은 휴식을 취하고 예배를 보는 한 주의 마지막 날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리적, 문화적인 차이로 한 주의 시작에 대한 관점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영어권 국가에서는 한 주의 첫 날을 일요일로, 유럽·남미·일부 아시아 국가에서는 월요일을 한 주의 첫 날로 여기지요.

 

〈한 주의 시작은 월요일? 일요일?〉

 

도대체 뭐가 맞는 지 헷갈리신다고요? 이러한 경우에 판단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수단이 있습니다. 바로 ‘표준’입니다.

 

우리나라 국가표준 (KS) 중 하나인 ‘주간 수 결정법 표준 (분류번호: KS A 5402)’은 주(週)의 결정 및 표기 방법에 관한 규정으로 위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공합니다.

 

‘주간 수 결정법’ 표준에 따르면 1주의 첫 날은 월요일입니다. 이는 국제표준화기구인 ISO에서 제정한 국제표준 ISO 8601 (날짜 및 시각의 표기)에도 동일하게 규정되어있는 세계 공통의 약속이지요.

 

■ ‘주간 수 결정법’은 한 주(週)의 ‘첫 번째 요일’뿐만 아니라 한 해의 ‘첫 번째 주’와 ‘주간 수’에 대해서도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 중 ‘첫 번째 주’는 다음과 같이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쓰이는 말이지요. 하지만 종종 명확하게 구분하기 애매한 경우가 있어 혼동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 2008년 첫째 주 화제의 책!  3월 첫째 주 휘발유 값,

     매 달 첫째 주 토요일의 모임…                    』

 

령 다음의 경우, 2월 1일은 2월의 첫째 주일까요, 아니면 1월의 마지막 주일까요?

 

〈2008년 2월 달력〉

28

29

30

3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얼핏 보면 2월 1일은 2월 중 하루이므로 당연히 2월의 첫째 주로 보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좀 이상하지 않나요? 1주일 중 절반 이상인 4일(28일~31일)이 1월의 날짜입니다. 2월의 한 주로 보기에 조금은 무리가 있는 부분이지요.

 

‘주간 수 결정법’ 표준은 매 월의 첫째 주 또는 마지막 주를 구분하는 기준을 어떤 월의 날짜가 그 주간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가로 봅니다. 이에 따르면 위와 같은 경우 2월 1일이 속한 주 1월의 날짜가 총 4일(28일~31일)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1월의 마지막 주가 되는 것입니다.

 

〈2008년 2월 1일= 2008년 1월 5주차〉

해당주간

28

29

30

31

1

2

3

1월 5주

4

5

6

7

8

9

10

2월 1주

11

12

13

14

15

16

17

2월 2주

18

19

20

21

22

23

24

2월 3주

25

26

27

28

29

 

 

2월 4주

 

주간 수 결정법에 따라 주간을 구분하다보면 종종 흥미로운 현상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새해의 첫 며칠이 알고 보니 지난해의 마지막 주가 되는 경우가 그 것이죠.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2000년의 1월 1일과 1월 2일은 2000년의 첫째 주가 아니라 1999년의 마지막 주 (52주)였답니다. 따라서 2000년의 첫째 주는 1월 3일부터 시작된 것이지요.

 

〈주간수 세는 방법의 예: 2000년 12월 달력〉

주간 수

 

 

1

2

3

4

5

48주

6

7

8

9

10

11

12

49주

13

14

15

16

17

18

19

50주

20

21

22

23

24

25

26

51주

27

28

29

30

31

1

2

52주

3

4

5

6

7

8

9

1주

 

 2008년도 벌써 3개월이나 흘렀습니다. 연초에 세워두었던 여러 가지 계획 중 아직 시작하지 못한 게 있으시다면 4월 첫째 주의 첫 날 (월요일)부터 다시 시작해 보시는 건 어떠세요? 참고로, ‘주간 수 결정법’ 표준을 적용하면 2008년 4월 첫째 주는 3월 31일부터 입니다.

‘주간 수 결정법’ 표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실 경우, 국가표준종합정보센터(www.standard.go.kr)에서 KSA5402' 또는 ’주간‘을 검색하시면 관련 KS 규격을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국가기술표준원

 

 

 


댓글은 회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게시판 설정
|